국내 산업에서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는 제조업 부문의 취업자 수가 1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한파와 제조업 부진으로 청년(15~29세) 고용률도 14개월 연속 위축되면서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만 3000명 늘었다. 증가 폭은 올 5월보다 줄었지만 올해 상반기 고용지표 자체는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실제 3월(19만 3000명), 4월(19만 4000명), 5월(24만 5000명) 등 4개월간 20만 명 안팎의 증가 흐름을 보였다. 15~64세 고용률은 63.6%로 6월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취업자 수 증가세는 정부 주도형 서비스업 중심에서 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 복지서비스업(21만 6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0만 2000명), 교육서비스업(7만 2000명)에서 늘어나며 전체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다. 이는 노인돌봄·사회복지 등 정부 예산으로 뒷받침되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지속된 데 따른 결과다.
다만 고용 유발이 큰 제조업 일자리는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8만 3000명 줄어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5월(-6만 7000명)보다 감소 폭이 확대됐다. 제조업 고용 감소가 1년 이상 지속된 것은 글로벌 교역 위축과 미중 갈등, 통상 마찰 등 대외 불확실성이 누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장주성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내수 제조업 상황이 좋지 않다”며 "종이나 의류 산업, 장난감, 악기 등 내수 연관 제조업이 계속해서 어려웠고 최근에는 미국 관세 여파에 자동차 제조업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건설업 고용도 암울하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9만 7000명 줄며 14개월 연속 감소를 이어갔다. 전월(-10만 6000명)에 비해 감소 폭이 소폭 줄었지만 건설 업황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청년층의 고용 한파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청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7만 3000명 축소됐다. 특히 청년 고용률은 전년 대비 1.0%포인트 떨어진 45.6%로 2024년 5월 이후 14개월 연속 하락하며 청년 고용 부진이 고착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청년 실업률은 6.1%로 7%가 넘은 3월(7.5%), 4월(7.3%)에 비해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전통산업에 속하는 농림어업 취업자 수도 이른 장마와 폭염 등 이상기후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대비 14만 1000명 급감해 2015년 11월(-17만 2000명)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나타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농림어업은 취업자 수가 구조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올 4월 한파·대설에다 6월에는 강수량 등 날씨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내수 활성화와 첨단산업 육성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고 청년 등 취약 계층의 고용 안정을 위한 핵심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상반기 취업자 수가 18만 1000명 증가해 연초 전망(12만 명)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다음 달 초에 발표되는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전망치를 상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하반기에도 고용 리스크가 여전해 정부의 고심이 깊다. 장 과장은 “제조업은 기저효과만 본다면 감소 폭이 조금 축소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게 맞다”면서도 “통상 리스크라는 마이너스 요인도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더 커지느냐에 따라 제조업의 고용 증감 향방이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