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신임총재의 개혁방향에 힘을 실으면서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지원 강화, 성과관리, 민간부문 협력 등 발전 방향에 대한 제안도 했다.
기재부는 6일(현지시간 기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제58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수석대표로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이 참석해 칸다 마사토 ADB 신임총재의 개혁 전략에 대한 지지와 함께 한국 정부의 3대 제언을 공식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경험의 공유, 미래를 준비”를 주제로 열렸으며, ADB 69개 회원국 정부 대표단과 국제금융기구, 민간 기업 관계자 등이 대거 참석했다. 의장국 이탈리아 외에도 일본, 중국, 인도 재무장관들이 자리를 함께해 역내·외 주요국의 시선이 집중됐다.
이날 ADB는 2024년 연차보고서 및 재무제표, 2025년 예산안을 승인했으며, 칸다 마사토 신임 총재는 기후변화 대응, 식량 안보, 디지털 전환을 3대 중점 지원 분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재원 확충과 기관 역량 강화 방침을 천명했다.
최 관리관은 거버너 비즈니스 세션(총회 연설)에서 “ADB의 개혁 전략은 시의적절하며, 한국은 이를 전폭 지지한다”며 다음의 세 가지 발전 방향을 제안했다.
우선 그는 ADB의 핵심 미션인 ‘글로벌 공공재’ 지원 확대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국은 이미 1억 달러 규모의 혁신금융기구(IF-CAP)에 참여했고, 핵심광물 관련 기술 및 정책자문 사업을 지원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ADB-한국 기후기술 허브(K-Hub)를 한국 내에 설립해 개도국 기후역량 강화를 위한 거점으로 삼겠다”며 구체적 로드맵도 공개했다.
두 번째로 최 관리관은 체계적 성과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성과관리는 개발효과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는 기반”이라며, 한국도 현재 참여 중인 신탁기금 및 협조융자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를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는 ADB의 파트너십을 기존의 정부 중심에서 민간 부문으로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국제 개발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민간의 자금과 전문성을 끌어들이는 것이 필수다"며 “ADB가 정부-민간 간 리스크 분담 구조와 효율적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앞장서 달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총회를 계기로 한국과 ADB 간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에 계속 기여해 나갈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