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초단기 안전자산에 국내 투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초단기채권 펀드 설정액은 39조 2998억 원으로, 올해 초 보다 6조1754억 원(18.6%) 늘어났다. 올해 들어 국내 전체 채권형 펀드에 유입된 자금 규모가 12조 1524억 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초단기채 펀드에 절반 가량이 몰렸다고 볼 수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인 지난 3일 하루에만 4352억 원이 자금이 초단기채권 펀드에 몰리기도 했다.
초단기채 펀드는 편입 자산의 평균 만기를 6개월 내외로 관리하는 상품이다. 같은 기간 기업어음(CP) 등 단기물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액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3일까지 MMF 설정액은 46조 3914억 원(27.8%) 늘어났다.
업계에서는 미국 행정부의 관세 리스크로 수출 기업들이 떠받치고 있는 국내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초단기 상품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지난 3일 기준 투자자 예탁금과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각각 55조 3200억 원, 16조 972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관액은 약 9024만달러(약 144조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