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에 가성비를 추구하는 고객들이 늘며 멸균우유 수입량이 사상 첫 4만 톤을 돌파했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내년부터 미국·유럽산 우유의 관세가 0%로 폐지될 예정인 터라 가격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멸균우유 수입 물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1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멸균우유의 수입량은 4만 8671톤으로 전년(3만 7361톤)보다 30.3% 증가했다. 멸균우유 수입량은 2019년 처음으로 1만 톤을 돌파한 뒤 5년 만에 4배가 늘어난 것이다. 올해 멸균우유 수입량은 5만 톤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됐다.
소비자들이 수입산 멸균우유를 선호하는 것은 가격이 저렴한 덕분이다. 국내에서 판매 중인 수입 멸균우유 평균 가격은 e커머스 기준 ℓ당 1000원이다. 국내산 신선우유 평균 가격이 ℓ당 3000원대인 것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싸다. 또 국내산 신선우유의 유통기한이 11~14일로 짧은 반면, 수입 멸균우유는 최장 1년에 달한다. 국산 멸균우유(평균 12주)보다도 유통기한이 훨씬 길다.
최근 들어 저가형 카페들이 늘고 있지만, 국내산 우유 납품가격이 상승하는 점도 수입산 멸균 우유 수요를 늘리고 있는 이유다. 현재 자영업자들이 카페로 납품받는 서울우유, 매일우유, 동원F&B의 덴마크밀크, hy우유 등의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 한 통(500㎖) 당 1600~1800원에서 2000~2200원으로 약 400원 가량 인상됐다.
특히 수입산 멸균우유 판매·유통사는 카페를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공격적인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일부 브랜드는 6개월 간 우유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거나 판촉 행사로 가격을 할인해 저가형 카페 공략에 나섰다. 지금은 카페 매장들 중 수입산 멸균우유를 사용하는 비중은 10% 미만이지만,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아울러 미국, 유럽산 우유에 대한 관세가 단계적으로 낮아져 내년에는 무관세가 적용될 예정이어서 수입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멸균우유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면서 어린 자녀를 둔 고객들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며 “수입산 멸균우유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을 넘어 ‘친환경’ ‘프리미엄’ ‘A2 우유’ 등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