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헬스 글로벌 6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인력 양성에도 총력전을 펼친다. 대기업이 블랙홀처럼 중소기업의 인력을 빨아들이고 중소기업은 연구개발(R&D)은 고사하고 제품을 생산할 인력마저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바이오 강국은 공염불이라는 판단이다. 현장 생산 인력부터 융복합 전문가, 임상·규제 인력 등 2027년까지 총 3만 5000명 이상의 핵심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생산 인력은 국립바이오전문인력양성센터(K-NIBRT), K바이오 트레이닝센터, 제약산업 미래인력양성센터, 백신 GMP 전문실습시설 등 합성·바이오의약품 생산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5년간 1만 6000명을 양성한다. 임상·규제 인력은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 전문인력과 백신 등 의약품 규제 과학 전문가를 1만 3000명 양성할 계획이다. 규제 과학 분야에서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통해 규제 이해도와 안전성·유효성 등 평가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인력을 600명 양성할 계획이다.
융복합 인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디지털·바이오 융합 촉진 및 시대적 흐름에 대비하기 위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 신약 개발 전문가 등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한 인재를 5년간 4000명 양성할 계획이다. 의대(의학)-공대(AI)-병원(현장·데이터) 간 학과 융합 과정을 개설·운영하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현장 수요 기반의 실무형·융합형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제약바이오의 인력 양성 생태계도 조성한다. 의대생 등 우수 인재가 제약바이오의 혁신 기술 개발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사과학자를 확충한다. 특히 석·박사급 연구 인재를 5년간 2000명 양성할 계획이다. 수도권 외 지역 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성화대학원 지정 및 운영을 현행 3곳에서 2027년까지 6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인력 양성 계획에서는 비대면 임상(DCT·분산형 임상) 전문인력 양성도 눈길을 끈다.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환자 중심의 분산형 임상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분산형 임상 제도를 개선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1·2차 의료기관의 임상시험 참여 확대를 추진하고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산업에 대한 표준 산업 분류 지정 등 지원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2021년 기준 6위인 글로벌 임상 순위를 2027년 3위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