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 간 제약바이오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업계에서는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다만 글로벌 긴축 기조가 지속되며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의 육성 계획이 역대 정부처럼 선언적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에야말로 제약바이오 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적재적소에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보건복지부는 24일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제3차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민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메가펀드 조성 △전문 인력 양성 등이 골자다. 고령화와 의료 기술의 발달로 제약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는 만큼 정부도 K바이오에 대한 대대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약속에 업계는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목하게 된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관심을 이어나가려는 것 같다”며 “엔데믹 이후 제약바이오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규모 지원책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다만 정부 정책이 아직 구체적이지 않고 업계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은 지원 방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종합계획이 앞서 발표된 1·2차 종합계획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5년 전에도 세계 제약 강국 7위를 하겠다는 선언적 얘기를 했었다”며 “산업계가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먼저 파악하고 글로벌 임상에 수천억 원이 들어가는 만큼 지원 규모를 더욱 키워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5년간 1만 3000명의 규제 과학 전문가를 양성하겠다고도 했다. 다만 실무적으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제 전문가의 영입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주문이다. 대다수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임상을 진행하며 똑같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만큼 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만한 지원이 시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바이오 기업의 한 관계자는 “국내에 FDA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이 부분을 해소해주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