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확산하고 있는 찬바람이 아파트 경매시장까지 빠르게 냉각시키고 있다. 강남권이 고가 아파트들이 줄줄이 유찰되고 있고,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또한 2019년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10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8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85.9%로 전달인 7월 낙찰가율인 90.6% 대비 4.7%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9년 9월(84.8%)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평균 응찰자 수도 4월 8.0명을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해 8월에는 5.6명을 기록했다. 낙찰률도 전달(43.4%)보다 떨어진 41.5%였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도 올해 최저치를 찍었다. 전달인 7월 96.6%보다 2.9%포인트 떨어진 93.7%를 기록한 것이다. 낙찰률과 평균 응찰자 수는 올랐다. 낙찰률은 전달(26.6%)보다 오른 36.5%를, 평균 응찰자 수는 2.9명 늘어난 5.9명으로 집계됐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한 차례 이상 유찰된 아파트 중 일부에서는 경쟁률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지만 매매시장 위축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부담 탓에 낙찰가율은 하락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똘똘한 한 채'로 꼽혔던 서울 강남권의 아파트가 유찰되는 사례가 경매 시장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상황이다. 강남구 도곡동의 타워팰리스 전용 81.6㎡은 감정가 23억1000만원보다 낮은 22억 5999만원에 팔렸다. 해당 물건은 지난달 한차례 유찰된 바 있다. 강남구 삼성동의 ‘아이파크삼성’도 전용 157㎡(감정가 51억7000만원)과 전용 145㎡(감정가 50억원) 물건이 모두 유찰되기도 했다.
서울 뿐만이 아니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경매지표도 모두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가율은 8년 여만에 최저점으로 내려갔다. 2014년 1월 기록한 82.2% 수준까지 내려간 82.9%를 기록한 것. 대출부담이 적은 감정가 3억원 미만 아파트는 여전히 강세지만, 9억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낙찰가율은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인천 아파트 낙찰가율은 70%대까지 떨어졌다. 올해 들어 처음이다. 낙찰률도 0.8%포인트 하락한 30.5%였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유일하게 울산(88.1%)만 낙찰가율이 전달 대비 올랐다. 부산은 낙찰가율이 83.5%로 전월(91.4%) 대비 7.9%포인트 하락했다. 2020년 2월 이후 2년 6개월만에 80%대로 떨어진 셈이다. 광주(91.9%), 대구(80.3%), 대전(79.1%)도 0.6~1.2%포인트 가량 소폭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