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의 필수 원자재인 니켈 확보를 위해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안정적인 니켈 공급망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9일 발표한 ‘핵심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 니켈’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세계 니켈 생산량의 37%를 차지해 니켈 생산국 1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세계 니켈 개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인도네시아에서 중국 자본 주도로 진행되는 만큼 중국과 인도네시아가 니켈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 점유율은 현재 65%에 달한다.
니켈은 삼원계 배터리의 소재가 되는 전구체 생산에 필수적인 원재료다. 세계 양극재 생산의 20%를 차지하는 한국은 국내 전구체 수요의 79%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 중에서 90% 이상은 중국산이다.
보고서는 전구체 국산화를 시급히 추진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럽연합(EU)이 2024년 7월부터 배터리의 탄소 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 니켈 공급망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늘어나는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 니켈을 충분히 확보하기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니켈 원료에서 최종 제품에 이르기까지 탄소 배출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조언했다. 또한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기업과의 거래를 축소하는 등 ESG 기준에 부합하는 니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니켈 공급을 위해 해외자원 개발을 추진하되 일본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와 같은 독립 지원 기관을 설치해 정치적 이해 관계나 가격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원 개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의 공급망 구축 논의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해 호주, 인도네시아 등 자원 보유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수급 불안이 지속되고 있어 민·관이 힘을 합쳐 장기적인 자원확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