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발전 비중을 빠르게 확대하는 가운데 중국 업체들이 태양광발전 핵심 부품의 국내 시장을 잠식해나가고 있다. 중국의 저가 공세로 국내 폴리실리콘·웨이퍼 등 주요 소재가 줄줄이 무너진 가운데 태양광 산업의 핵심인 셀과 모듈마저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자칫 탄소 중립도 중국에 휘둘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의무공급비율(RPS)에 따라 국내에서 보급된 태양광발전 단지 중 국내산 모듈 점유율은 지난 2019년 78.4%에서 지난해 64.2%, 올해 6월 63.2%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산 모듈 점유율은 21.6%에서 36.7%로 늘어났다. 셀 시장에서도 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50.3%에서 37.2%로 쪼그라드는 동안 중국산 점유율은 38.3%에서 61.0%로 높아졌다.
셀은 빛을 받아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셀을 횡과 축으로 엮은 것이 태양광 모듈이며 이 모듈들이 모여 태양광발전 솔루션을 구축한다. 특히 차세대 태양광발전으로 꼽히는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BIPV) 등에는 중국산 저가 셀이 아니라 고효율·고품질의 셀이 필요하다. 하지만 태양광 산업의 원자재 격인 폴리실리콘과 웨이퍼 제조 기반이 국내에서 이미 무너진 데 이어 태양광발전의 핵심인 셀과 모듈마저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단순히 수입 부품으로 발전량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원전처럼 기술력을 강화해 수출까지 이어지는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는 것이 진정한 탄소 중립”이라며 “셀은 아직 초기 단계인 태양광발전에서 핵심 부품인 만큼 국산 비율을 높여 국내 기업이 연구개발(R&D)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