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개 중 4곳꼴로 거래 대기업으로부터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신용평가등급확인서(이하 신용평가서) 발급 경험이 있는 전국 500개 중소기업을 상대로 실시한 ‘대·중소기업 거래 시 신용평가서 요구 관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전체의 41.9%가 이런 경험이 있었다. 특히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를 받은 중소기업의 53.6%는 해당 요구가 ‘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당하다고 인식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이미 발급받은 신용평가서를 인정해 주지 않아 추가 비용 발생(92.2%)을 압도적 비중으로 꼽았다. 이어 △타 신용평가사 대비 비싼 발급 수수료(16.5%) △타 신용평가사 대비 과도한 자료제출 요구(15.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중소기업들의 연평균 신용평가서 발급 횟수는 1.9건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기업과 거래 중인 중소기업은 2.0건으로,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의 1.2건보다 평균 0.8건 높게 나타났다.
연간 2회 이상 신용평가서 발급 시 이유에 대해서도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들은 ‘거래 상대방이 특정 신용평가서의 신용평가서를 요구해서’(61.8%)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은 ‘신용평가서 발급 용도가 달라서’(62.5%)를 가장 높은 비중으로 응답해 차이를 보였다. 김희중 중기중앙회 상생협력부장은 “일부 대기업이 계약 이행능력 확인 등을 빌미로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을 강요하는 등의 관행을 보여 거래 중소기업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존 발급 신용평가서를 인정해주고, 거래 중소기업이 신용평가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등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거래 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