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조문·추모가 가능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작스런 부고 소식으로 인해 빈소에 찾아가지 못하는 경우에도 조문·추모가 가능하게끔 하려는 취지다.
31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6년까지 연간 10여 건에 불과했던 스마트폰 기반 장례·추모 서비스 특허출원이 2017년과 지난해엔 24건까지 늘어났다. 올해엔 5월까지 14건이 출원돼 연말까지 30건 이상 출원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장례·추모 서비스 특허출원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조문객과 상주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장례지원’부터 부고부터 분향·헌화, 조화 전달, 조문 인사까지 모두 가상공간에서 진행하는 ‘가상조문’,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해 현실에 존재하는 것처럼 고인을 인식하고 추모하는 ‘장례 후 가상추모’ 등 종류도 다양하다.
이들 각 분야에서 2010년부터 2019년 5월까지의 출원 건수를 집계한 결과 가상조문이 26건, 가상추모가 37건, 장례지원이 87건을 차지했다. 특히 장례 후 가상추모 서비스는 2017년 이후에만 19건이 출원됐다. 가상환경 기반의 새로운 추모 문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특허를 출원한 주체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개인·중소기업(89%)이었다. 생활과 밀접한 장례 서비스의 특성상 실생활 경험에서 발명 아이디어를 얻기 용이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송원선 특허청 특허팀장은 “가상·증강현실과 같은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 고유의 전통을 살리면서 정보기술을 통해 편리성을 높인 새로운 장례 문화가 확산되는 추세”라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확대되는 장례 산업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장례·추모서비스 관련 특허출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심우일기자 vit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