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9년 대우중공업 워크아웃으로 산업은행이 관리해왔던 대우조선해양이 20년 만에 현대중공업을 새 주인으로 맞았다. 하지만 두 조선사가 화학적 결합을 통해 완전체가 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과 지역정치권의 반발, 경쟁국들의 기업결합심사 등 만만치 않은 고비를 넘겨야 한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8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권오갑 현대중공업 부회장과 대우조선 민영화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1월 말 체결한 양사 간 기본합의서가 효력을 발생하게 됐다. 두 회사는 본 계약 체결을 계기로 인수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그룹 자회사 현대중공업이 물적분할을 통해 한국조선해양(가칭)을 만들고 산은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 지분 전량을 한국조선해양에 현물출자하기로 했다. 산은은 그 대가로 한국조선해양 지분 7%와 1조2,500억원 규모의 우선주를 받는다. 한국조선해양의 대주주는 28%를 가진 현대중공업지주가 된다. 산은은 2대 주주다.
양사는 이날 본 계약 체결 후 대우조선의 현 자율경영체제를 유지하고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약속하며 대우조선 협력업체와 부품업체의 기존 거래선 유지를 보장한다는 공동 발표문을 냈다. 또 산은·수출입은행·현대중공업 등으로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사회와 노조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을 완전히 품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난제가 적지 않다.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잠재 부실이 발생할 경우 산은과 논의한 주식 교환비율이 적정했는지 따져봐야 한다.
이번 매각이 정부 차원의 조선업 구조조정 차원에서 진행된 만큼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는 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변수는 미국·유럽연합(EU)·중국 등 대우조선 경쟁사들을 보유한 국가들의 기업결합심사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을 품으면서 세계 최대 조선그룹 지주사로 등극하면 이들 국가에서 독과점 이슈가 불거질 수 있다. 실제 액화천연가스(LNG)선은 두 회사가 전 세계 물량의 절반가량을 건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회장은 “해당 국가의 클라이언트와 선주 간 이해관계, 독과점 경쟁 관계 등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이뤄질 것”이라며 “현 단계에선 낙관 또는 비관을 거론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완전한 인수를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유상증자의 성사 여부도 관심거리다. 대우조선은 향후 1조5,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해 차입금을 상환해야 한다. 국민연금과 KCC 등 주요주주들의 참여 여부가 변수다. 일감 축소와 고용 불안을 우려하는 거제 지역 경제의 여론과 강성인 대우조선 노조와의 관계설정도 넘어야 할 산이다. 당장 이날 대우조선 노조는 상경해 여의도 산은 본관 안으로 진입을 시도하다가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
한편 대우조선 새 신임대표에는 현 조선소장인 이성근 부사장이 내정됐다. 대우조선 경영정상화 관리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열고 이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추천했다.
/서민우·박한신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