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오후 광화문KT 12층 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 등 주요 안건을 논의했다.
우선 스마트공장 확산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부 지원, 대기업 지원으로 이원화된 방식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하고, 대·중견기업 및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산업혁신운동 2단계를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지자체-지방중기청-TP 등이 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 현장수요를 발굴하는 한편,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R&D, 자금 등 정책수단을 연계 지원하며,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둘째,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AI·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한다. 업종별·지역별 시범공장과 대표 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공동 활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기존 구축기업의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전용사업을 신설하고, 공급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해 대·중견·중소기업간 ‘스마트 팩토리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셋째,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강화하고,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 및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확대한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스마트공장 확산 전략은 그동안 현장에서 기업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문제점이나 애로사항에 집중해 이를 보완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민정기자 jmin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