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개인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신용불량신규발생지수'는 올 3월 20.80으로 지난해 4월의 16.83보다 23.6% 상승했다.
신용불량신규발생지수란 매월 새로 발생하는 신용불량자를 나이스신용평가정보가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높을수록 신용불량자가 많이 쏟아졌다는 뜻이다.
경기침체가 본격화한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수는 상승세다. 금융기관 대출자, 신용카드 사용자, 할부금융 이용자 등 모든 부문에서 신용불량자가 늘었다.
특히 신용도 최하위 등급(10등급)의 비중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집계한 10등급은 지난 2010년 말 33만3,000명에서 올 5월 40만5,000명으로 늘었다. 전체 등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84%에서 1.00%로 커졌다.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말 10등급이 45만8,000명(전체의 1.21%)으로 불어난 후 가장 큰 규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