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공회의소 회장단이 최근 국내 경제상황이 좋지 않다고 진단했다. 유럽 재정위기와 내수부진을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상의 회장 71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국내 경제상황에 대해 '좋지 않다'라는 응답이 90.1%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보통'이라는 의견은 9.9%에 머물렀고 '좋다'라는 대답은 없었다.
하반기 경제전망 역시 '상반기보다 나빠질 것(32.4%)'이라는 답변이 '나아질 것(8.4%)'이라는 응답을 크게 웃돌았다. '비슷할 것'이라는 대답은 59.2%였다.
우리 경제의 회복을 저해하는 불안요인으로는 '유럽 재정위기 재발(53.7%)'이 가장 많았고 '내수부진 지속(17.9%)' '중국 등 신흥국 경제 둔화(13.4%)' '정치 리스크 확대(7.5%)' 순으로 꼽혔다.
회장단은 아울러 우리나라 기업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정책의 일관성 부족(62.0%)'을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기업의 환경·노사 관련 규제(33.8%)' '물가통제 등 지나친 정부개입(4.2%)'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조세정책은 '감세정책 유지 또는 확대기조(95.8%)'로 나아가야 한다고 대답했다. 특히 조세정책을 증세기조로 전환할 경우 기업투자와 고용확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무려 97.1%에 이르렀다.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으로 '차별적 처우는 금지하되 사용기간 제한을 폐지하고 노사자율에 맡겨야 한다(71.8%)'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예측하기 힘든 기업정책과 감세기조 후퇴 움직임이 기업들의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고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고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대외적 불안요인이 우리 실물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