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됐다…23번째 유네스코 등재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됐다…23번째 유네스코 등재
    문화 2024.12.04 08:04:18
    우리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됐다. 국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는 23번째다. 4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는 이날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회의에서 예정대로 장 담그기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정식 명칭은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영문 명칭 ‘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다. 위원회는 장 담그기가 공동체 문화에
  • 올해 국내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은 ‘○○○ ○○’
    올해 국내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은 ‘○○○ ○○’
    문화 2024.12.04 03:30:00
    국내 양대 서점인 교보문고와 예스24에서 올해 가장 많이 팔린 책은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보문고가 2일 발표한 2024년 종합 베스트셀러 순위에 따르면 ‘소년이 온다(창비)’는 연간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2위와 3위는 각각 ‘채식주의자(창비)’와 ‘작별하지 않는다(문학동네)’로, 모두 한강의 소설이다. 한강은 2016년 조사에서도 ‘채식주의자’로 연간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한강의 또 다른 소설 ‘흰(문학동네)’은 9위,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문학과지성사)’는 10위에 올랐다. 이로
  • 한국 고유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한국 23번째
    한국 고유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한국 23번째
    문화 2024.12.04 03:22:06
    콩을 발효해 된장, 간장 등을 만들어 먹는 우리 고유의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됐다.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오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제19차 위원회 회의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올렸다. 장은 오랜 세월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져온 기본 양념이다. 장 담그기 문화는 장이라는 음식뿐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준비해 장을 만들고 관리·이용하는 과정에서 전하는 지식, 신념, 기술 등을 아우른다. 우리
  • 희망 담은 감동의 선율…"힘들었던 한해 위로 받았죠"
    희망 담은 감동의 선율…"힘들었던 한해 위로 받았죠"
    문화 2024.12.03 21:14:24
    “내일로 가는 계단 그곳에 열린 문/미래를 향한 그 길 행복을 약속해/모두가 풍요로운 세상 저 뒤에서 우릴 기다려/내일로 가는 계단 찬란하게 빛나네” (뮤지컬 ‘더 라스트 키스’ 대표 넘버 ‘내일로 가는 계단’ 中) 3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2024 기업인을 위한 서경 송년음악회’. 뮤지컬 배우 민영기와 팝페라(오페라를 팝처럼 부르는 양식) 소프라노 정하은, 팝페라 그룹 카르디오가 하나의 화음을 이뤄 ‘내일로 가는 계단’을 열창하며 다사다난하고 고단했던 일상에 지친 이들의 마음에 위로를 가득 안겨줬다. 크로스
  • 중앙대 사진학과 설립 60주년 특별전,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
    중앙대 사진학과 설립 60주년 특별전,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
    문화 2024.12.03 16:31:06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의 설립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이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영신관 CCP 포토북 라운지에서 오는 7일 개막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 서양의 신문물로서 사진술이 들어온 19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진 문화와 사진교육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근현대 사진 교육사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장이 될 예정이다. 해방 후 처음 발간된 사진 전문지 <사진문화>, 사진 교재로 사용되었던 각종 기술 및 이론 서적, 그리고 1990년대 이후 현대사
  • 중앙대 사진학과 60주년 기념 특별전시,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
    중앙대 사진학과 60주년 기념 특별전시,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
    문화 2024.12.03 16:29:33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의 설립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 '한국의 사진교육과 담론 사료전'이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영신관 CCP 포토북 라운지에서 오는 7일 개막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 서양의 신문물로서 사진술이 들어온 19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진 문화와 사진교육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근현대 사진 교육사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장이 될 예정이다. 해방 후 처음 발간된 사진 전문지 <사진문화>, 사진 교재로 사용되었던 각종 기술 및 이론 서적, 그리고 1990년대 이후 현대사
  • "돌격대장이자 다혈질" 우리가 몰랐던 다산 정약용의 30대 시절
    "돌격대장이자 다혈질" 우리가 몰랐던 다산 정약용의 30대 시절
    문화 2024.12.03 13:25:42
    “젊은 날의 다산은 돌격대장이자 다혈질이었습니다. 수 틀리면 절대 그냥 넘어가지 않았죠.” 정민 한양대 교수의 손 끝을 통해서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의 젊은 시절이 되살아났다. 이달 9일 출간되는 ‘다산의 일기장’을 통해서다. 정 교수는 3일 ‘다산의 일기장’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인간 다산을 새롭게 살펴보고 싶었다”며 “완전무결하고 위민정신의 화신이었던 다산 대신 분노할 줄 알고 옳은 것을 위해 싸우기도 했던 젊은 날의 다산이 있었기에 강진 시절의 다산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젊은 날의
  • 한동훈, 송강호 주연 영화 ‘1승’ 화면해설 녹음 참여
    한동훈, 송강호 주연 영화 ‘1승’ 화면해설 녹음 참여
    문화 2024.12.03 11:01:37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송강호 배우가 출연하는 영화 ‘1승’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녹음에 참여했다. 한 대표는 3일 페이스북을 통해 “곧 개봉할 영화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녹음에 참여했다”며 “영화 내내 어떤 상황인지 영화 장면들을 말로 설명해드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시각장애인들은 극장에서 영화를 보면서 이어폰으로 그 설명을 들으실 수 있다”며 “소중한 기회를 주고 함께 해준 시각장애인연합회에 감사드린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격차를 줄이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 아직 부족
  • 한국 기업이 만든 아트페어 브랜드, 해외 첫 진출
    한국 기업이 만든 아트페어 브랜드, 해외 첫 진출
    문화 2024.12.03 10:46:15
    한국 기업이 만든 아트페어가 태국 방콕에서 열린다. 아트 전문 기획사 아트미츠라이프(AML)는 12월 4∼7일 태국 방콕의 아이콘시암에서 아트페어 '액세스 방콕'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액세스 방콕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국내 아트페어 해외 개최 지원' 사업으로 진행되는 행사다. 아트페어에는 조현화랑과 갤러리2, 디스위켄드룸 등 국내 갤러리 12곳과 노바 컨템포러리, 에스에이씨 갤러리 등 태국 갤러리 9곳을 포함해 총 30개 갤러리가 참여할 예정이다. AML측은 "액세스
  • 국립정동극장 2025년도 예술단 시즌단원 모집
    국립정동극장 2025년도 예술단 시즌단원 모집
    문화 2024.12.03 10:45:08
    국립정동극장이 무용과 타악 분야에서 2025년도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시즌단원을 모집한다고 3일 밝혔다.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시즌단원은 무용과 타악 분야를 나눠 모집한다. 공고일 기준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으로 최근 3년 이내 프로 무대에서 연간 1개 작품 이상, 총 3개 작품 이상의 공연예술 장르 출연 경력이 있는 이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활동 기간 내 작품 연습 및 공연 기간 모든 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선발 관련 분야 대학의 입학 예정자는 응시할 수 없다. 대학 휴학생 및 대학원생은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해우당 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됐다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해우당 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됐다
    문화 2024.12.03 09:22:37
    국가유산청은 경상북도 영주 무섬마을 내 대표적 고택인 만죽재 고택과 해우당 고택을 오랜 세월을 거쳐 전해져 온 관련 유물들과 함께 국가민속문화유산 ‘영주 만죽재 고택 및 유물 일괄(榮州 晩竹齋 古宅 및 遺物 一括)’, ‘영주 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榮州 海愚堂 古宅 및 遺物 一括)’로 각각 지정했다고 3일 밝혔다. 만죽재 고택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인 1666년(현종 7년) 반남박씨 박수(1641∼1729)가 무섬마을에 입향하면서 지은 고택으로, 입향조로부터 13대에 이르기까지 장손이 360년간 집터와 가옥을 온전히 지켜오며
  • 태국 방콕에 ‘관광기업지원센터’ 연다…해외 3번째
    태국 방콕에 ‘관광기업지원센터’ 연다…해외 3번째
    문화 2024.12.03 08:00:00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3일 태국 방콕에서 해외 관광기업지원센터(KTSC, Korea Tourism Startup Center)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해외 관광기업지원센터’는 혁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관광벤처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기반 시설이다. 이번 방콕 관광기업지원센터는 싱가포르(2022년 8월 개소)와 일본 도쿄(2023년 12월 개소)에 이어 해외에서 세 번째로 문을 여는 지원센터다. 현재 싱가포르 관광기업지원센터와 도쿄 관광기업지원센터에는 각각 11개사, 15개사가 입주하고 있으며, 관광기업지원센터는
  • 문체부 “대학로 일대 공연장 안전 교육”
    문체부 “대학로 일대 공연장 안전 교육”
    문화 2024.12.03 08:00:00
    문화체육관광부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 일대에 있는 공연장 중 연말연시에 인파가 밀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공연장의 안전관리 조치 등을 살펴보고 겨울철 화재와 무대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을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를 위해 3~4일 공연장안전지원센터와 함께 선돌극장과 파랑씨어터, 예술공간 혜화, 시온 아트홀, 한성아트홀 등을 찾아가 현장을 점검한다. 문체부는 “이번 점검에서는 겨울철 화재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종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화재 위험성에 대한 공연장 시설의 안전을 진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오 함께 화재
  • "한강이 왜 '한강강'이 됐나요?"…'Hangang River' 외국어 표기에 갑론을박
    "한강이 왜 '한강강'이 됐나요?"…'Hangang River' 외국어 표기에 갑론을박
    문화 2024.12.02 21:16:13
    "한강의 올바른 영문 표기는 'Hangang River(한강 리버)'입니다. 정확한 이름을 사용하는 데 협력해주길 당부합니다." 지난달 19일 서울시가 이 같은 발표를 한 뒤 열흘이 지났지만, 올바른 외국어 표기 지침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식지 않고 있다. 최근 국내 영자신문 '코리아 중앙 데일리'는 서울시의 당부를 따르지 않겠다며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매체의 짐 불리 에디터는 칼럼에서 "'Hangang River&ap
  • 한국미술사학회, 디지털 헤리티지 주제로 학술대회
    한국미술사학회, 디지털 헤리티지 주제로 학술대회
    문화 2024.12.02 17:48:24
    한국미술사학회는 오는 7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한국미술의 확장: 디지털 헤리티지’ 라는 제목의 2024년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국 미술을 활용한 미디어 파사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 제작이 늘어나는 최근 상황에 맞춰 디지털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한 ‘한국미술과 첨단 디지털 기술의 융합’에 대한 학술적 평가와 전망을 모색한다. 총 3부로 진행되며 △디지털 헤리티지의 과거와 현재 △디지털 헤리티지의 확장성, 체험과 소통 △한국 디지털 헤리티지의 활용, 그리고 세계화 등 3편의 발표와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