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1조 재원' 확보한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株매입·사업구조개편 시동
    '1조 재원' 확보한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株매입·사업구조개편 시동
    바이오 2025.07.04 17:54:00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가 1조 원의 신규 자금을 마련해 올해 안으로 5000억 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을 매입하고 국내외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선다. 셀트리온의 기업가치를 개선하는 동시에 셀트리온홀딩스의 수익성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나스닥 상장에 필요한 발판을 만들겠다는 목적이다. 4일 셀트리온홀딩스는 1조 원의 신규 재원 한도를 확보했으며 해당 자금을 사업구조 개편과 수익성 개선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우선 셀트리온홀딩스는 5000억 원을 연내 셀트리온 주식 매입에 활용한다. 1차 매입은 2500억 원 규모로 다음
  •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병용 치료 시 무릎 연골 재생 효과 확인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병용 치료 시 무릎 연골 재생 효과 확인
    바이오 2025.07.04 14:28:52
    메디포스트(078160)는 중등도 이상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과 고위 경골 절골술(HTO)을 동시에 적용하는 병용 임상시험에서 연골 재생 효과가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고위 경골 절골술은 무릎 관절 정렬을 개선해 중년의 관절염 진행을 늦추는 수술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연골 재생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점이 한계로 꼽혀왔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석중 교수 연구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스템 셀 리서치 앤드 테라피(Stem Cell Research & Ther
  • '6000억 기술수출' 나이벡, 바이오USA서 펩타이드 기술력 호평
    '6000억 기술수출' 나이벡, 바이오USA서 펩타이드 기술력 호평
    바이오 2025.07.04 14:20:16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138610)이 근감소증 치료제와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PEPTARDEL)’에 대한 글로벌 공동개발 및 상업화를 본격화한다. 나이벡은 지난달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바이오 USA 2025’에서 핵심 파이프라인인 노화역전 펩타이드 기반 근감소증 치료제와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사들과 심도 있는 기술 협의를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바이오 USA에서 나이벡은 줄기세포 활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노화 대응 기술과 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글로벌 제약사들
  • 올릭스, 미국 대형 로펌 출신 고현석 변호사 영입
    올릭스, 미국 대형 로펌 출신 고현석 변호사 영입
    바이오 2025.07.04 14:10:26
    올릭스(226950)가 미국 실리콘밸리와 뉴욕에서 인수합병(M&A)과 벤처 투자 분야의 다수 빅딜을 수행한 고한석 미국 변호사를 사업전략 이사로 영입한다고 4일 밝혔다. 고한석 신임 이사는 법률·금융 복합 전문가로 프린스턴 대학교 정치학 학사를 마친 뒤 노스웨스턴 대학교 로스쿨(JD)과 경영대학원(MBA)을 동시에 졸업했다. 미국 대형 로펌인 펜윅앤드웨스트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바이오텍 스타트업들의 벤처 투자 유치를 포함해 50건 이상의 스타트업 대상 벤처 투자 계약을 주도했다. 1억 달러(약 1363억원) 이상 규모의
  • 내시경 로봇이 자율주행…10개 넘는 신장결석도 수술 한번에 완벽 제거[메디컬 인사이드]
    내시경 로봇이 자율주행…10개 넘는 신장결석도 수술 한번에 완벽 제거[메디컬 인사이드]
    바이오 2025.07.04 13:00:00
    “오른쪽 신장(콩팥)에만 크고 작은 돌이 11개나 있었어요. 기존 방식이라면 적어도 두 번은 시술해야 했을 겁니다. 결석의 크기가 크고 경도(딱딱함)가 강한 경우 레이저로 조심스럽게 깬 뒤 여러 번에 걸쳐 요도 밖으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고 잔석이 남기 쉽거든요. " 박민구 고려대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메닉스 도입 이후 난이도 높은 내시경 결석치료술도 한 번에 끝낼 수 있게 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자메닉스(Zamenix)&ap
  • 셀트리온홀딩스, 1조원 재원 한도 확보…사업구조 개편 및 수익성 개선 추진
    셀트리온홀딩스, 1조원 재원 한도 확보…사업구조 개편 및 수익성 개선 추진
    바이오 2025.07.04 10:13:33
    셀트리온(068270)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가 1조원의 신규 재원 한도를 확보 완료했으며 이 자금을 사업구조 개편 및 수익성 개선에 투입하겠다고 4일 밝혔다. 홀딩스는 우선 1차로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대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할 계획이다. 추가 지분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배당 확대 등 수익 향상은 물론 내재 가치보다 과도하게 저평가된 자회사 주주가치 제고에 지주사도 힘을 보탠다는 전략이다. 주식 매입은 두 차례에 걸쳐 총 5000억 원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며 전 물량은 장내에서 매수할 방침이
  • 국내서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서 삼성에피스·셀트리온 격돌
    국내서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서 삼성에피스·셀트리온 격돌
    바이오 2025.07.04 08:58:54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제약이 각각 한미약품과 대웅제약 손을 잡고 국내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에서 승부를 벌인다. ‘프롤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양사 모두 같은 가격으로 건강보험 등재를 마친 만큼 상품성과 현장 의료진을 상대로 한 마케팅·영업력이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셀트리온제약의 ‘스토보클로’ 론칭을 기념해 전국 8개 도시에서 '퍼펙트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서울을 시작으로 수원, 대구, 경주, 부산, 전북, 광주, 제주에서 총 11회에 걸쳐 이뤄진 심포지엄에는 720여
  • 보로노이·로킷헬스케어 AI 활용 신 치료법 임상 성공
    보로노이·로킷헬스케어 AI 활용 신 치료법 임상 성공
    바이오 2025.07.04 08:57:42
    인공지능(AI) 기술을 할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잇달아 성공적인 임상결과를 내놓고 있다. AI를 기반으로 설계된 약물과 치료법이 실험실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도 기존 치료 보다 좋은 결과를 입증한 만큼 신약 개발 속도와 확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 바이오 AI 기술은 의료데이터 부족 때문에 해외에 비해 다소 뒤쳐져 있었지만 성공적인 임상 결과가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상업적 가치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보로노이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종양학회 2025(ASO)’에서 비
  • 수술해도 40%는 재발하는 ‘이 암’…소변검사로 예후 미리 안다
    수술해도 40%는 재발하는 ‘이 암’…소변검사로 예후 미리 안다
    바이오 2025.07.04 05:30:00
    간단한 소변검사만으로 방광암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이상철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류호영 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송병도 한양대구리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비(非)근육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치료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 지표를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방광암은 신우·요관·방광·요도 등 소변을 만들어 배출하는 요로의 상피세포에 발생하는 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4197명의 남성이 방광암으로 신규 진단돼 남성암 발생률 1
  • 李 화해 메시지에…의대교수들 “학생·전공의 복귀 준비에 최선”
    李 화해 메시지에…의대교수들 “학생·전공의 복귀 준비에 최선”
    바이오 2025.07.03 20:25:52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자 의과대학 교수들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신뢰 회복, 대화 그리고 타협으로 현 사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에 깊이 공감한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들은 "학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책임지고 있는 의대 교수들은 학생이 학교로 복귀하고 전공의가 수련병원으로 재취업할 수 있
  • 루닛 "의료AI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글로벌 1만곳' 돌파"
    루닛 "의료AI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글로벌 1만곳' 돌파"
    바이오 2025.07.03 17:55:04
    루닛(328130)은 자사의 인공지능 영상진단 솔루션을 도입한 전세계 의료기관 수가 1만 곳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루닛 제품을 도입한 의료기관 6500곳과 지난해 5월 자회사로 편입한 볼파라 헬스의 도입기관 3500곳을 합한 수치다. 루닛은 2019년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출시했다. 이후 2020년 말 100곳, 2022년 말 1000곳, 2023년 말 3000곳을 넘어섰다. 올해 65
  • AI 신약 개발 '청신호'…보로노이·로킷헬스케어 잇단 임상 성공
    AI 신약 개발 '청신호'…보로노이·로킷헬스케어 잇단 임상 성공
    바이오 2025.07.03 17:41:14
    인공지능(AI) 기술을 할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잇달아 성공적인 임상결과를 내놓고 있다. AI를 기반으로 설계된 약물과 치료법이 실험실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도 기존 치료 보다 좋은 결과를 입증한 만큼 신약 개발 속도와 확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 바이오 AI 기술은 의료데이터 부족 때문에 해외에 비해 다소 뒤쳐져 있었지만 성공적인 임상 결과가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상업적 가치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보로노이(310210)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종양학회 2025(A
  • 삼성에피스·셀트리온, 국내서 '골다공증 치료제' 격돌
    삼성에피스·셀트리온, 국내서 '골다공증 치료제' 격돌
    바이오 2025.07.03 17:22:55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제약(068760)이 각각 한미약품(128940)과 대웅제약(069620) 손을 잡고 국내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에서 승부를 벌인다. ‘프롤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양사 모두 같은 가격으로 건강보험 등재를 마친 만큼 상품성과 현장 의료진을 상대로 한 마케팅·영업력이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셀트리온제약의 ‘스토보클로’ 론칭을 기념해 전국 8개 도시에서 '퍼펙트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서울을 시작으로 수원, 대구, 경주, 부산, 전북, 광주, 제주에서 총
  • 압타머사이언스, 아리바이오로의 '인수설'에 주가 출렁
    압타머사이언스, 아리바이오로의 '인수설'에 주가 출렁
    바이오 2025.07.03 16:37:58
    비상장사인 아리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사 압타머사이언스(291650)를 인수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주가가 요동쳤다. 아리바이오는 즉각 인수설을 부인하고 조명업체인 소룩스와 합병에 집중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적부진 탓에 압타머사이언스의 상장폐지 리스크까지 불거지자 시장에서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이 유통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압타머사이언스 주가가 장 중 한때 30% 가까이 올랐다 전일 대비 4.85% 하락한 1196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압타머사이언스의 주가가 롤로코스터를 탄 것은 한 매체가
  • 의협 “李대통령 진심 확인…의료사태 해결 위한 장 열리길”
    의협 “李대통령 진심 확인…의료사태 해결 위한 장 열리길”
    바이오 2025.07.03 16:24:16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과 '대화'의 메시지를 내면서 의정 해빙모드가 무르익는 분위기다. 의사 출신으로서 의료계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임명되면 의정 간 대화를 통한 갈등 해결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이날 오늘 오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