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 실린 실험실 안전 지침(예를 들어 보호 안경 착용)이 관련 삽화에서는 쏙 빠진 경우도 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소속의 물리학자 존 허비즈는 지난 수 십년 동안 보다 나은 교과서를 만들자는 캠페인을 벌였지만 소득은 별로 없었다.
그는 이제 교과서 검토 결과를 새로 개설한 웹사이트(www.science-house.org/middleschool/reviews/index.html)에 실어 대중들에게 많은 오류를 알림으로써 상황이 나아지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출판업자들이 문제를 심각히 여기지 않는 까닭에 이런 웹사이트를 열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 동안 오류를 지적하는 편지를 수도 없이 보냈지만 뒤에 나오는 책에는 똑같은 오류가 그대로 있었다는 것이다. 교과서를 구입하는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 보통 이 문제는 주 정부 차원에서 다루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교과서의 질보다는 정책을 더 중요시하게 된다. 개별 교육구에서는 자체 예산으로 책을 구입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비용 없이 주정부가 구입한 책을 주문하게 된다.
미국과학협회(AAAS)는 「2061 프로젝트」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교육을 향상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섭외 담당을 책임지고 있는 메어리 코팔은 중학교 수학 교과서는 꽤 괜찮게 만들어졌지만 과학교과서는 아주 형편 없다고 평가했다. 이 프로젝트팀은 교육학자 및 출판업자들과 힘을 합쳐 만든 새 교과서를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허비즈는 자신의 웹사이트가 그저 교사들에게 오류를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로 좋은 생각을 교환할 수 있는 토론장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