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희토류 생산 확대를 위해 728억 루피(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대형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이다.
2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회의를 열어 654억 루피(약 1조1000억 원)를 판매 관련 인센티브로, 75억 루피(약 1200억 원)는 희토류 생산 시설 설립 보조금으로 쓰는 내용의 프로그램을 향후 7년 동안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희토류 공급 부족 해소와 연간 6000톤의 생산 능력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인도는 전기차와 재생에너지·방위산업 등에 필수 소재인 희토류를 확보하고자 당초 2억 9000만 달러(약 43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계획했다가 이를 더 크게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정은 희토류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국제 흐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나왔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0%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전략 무기화해 외교 갈등의 공격 카드로 활용해 왔다. 4월 미국과의 무역 분쟁 당시에는 희토류 수출을 제한해 미국은 물론 글로벌 자동차 제조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아슈위니 바이슈노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정부 회의에서 “이 프로그램은 인도를 위한 하나의 큰 전략적 승리가 될 것”이라며 “희토류와 반도체 칩이 없으면 어떤 제품이든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so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