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가타현에 있는 도쿄전력의 가시와자키카리와 원전이 재가동을 앞두고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멈춰 있던 도쿄전력 원전이 다시 가동되는 첫 사례로 일본 정부의 원전 확대 기조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는 가시와자키카리와 원전 재운전 승인 절차를 사실상 마무리하고 있다. 그는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굳혔으며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다음 달 2일 열리는 현 의회에 재가동 안건을 상정해 지역 동의를 구한다. 의회 승인까지 이뤄지면 주민 동의 절차가 끝난다.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전은 1985년 도쿄전력이 운전을 시작했을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원전으로 총 7기 원자로와 821만 2000㎾에 이르는 발전 용량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가동을 중단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6·7호기 재가동을 목표로 안전 대책을 수립하고 지역사회 설득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번 절차가 끝나면 도쿄전력은 사고 이후 처음으로 원전을 다시 가동하게 된다.
이번 결정은 일본 정부가 에너지 중심축을 원전으로 돌리는 흐름과 맞닿아 있다. 동일본 대지진 이전 일본에서는 54기의 원자로가 가동됐지만 사고 후 전면 중단됐고 현재는 14기만 운전 중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인공지능(AI) 확대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과 에너지 안보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을 늘리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2월 각의에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기존 원전을 적극 활용하는 방침을 채택했다. 지역사회에서는 우려도 나온다. 원전으로 인한 위험 부담에 비해 지역의 경제적 이익은 크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면서다.
이를 의식한 정부와 도쿄전력은 추가 지원책을 내놨다. 일본 정부는 총 1000억 엔 이상으로 예상되는 피난 도로 정비 비용을 전액 부담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도쿄전력도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1000억 엔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ngea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