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다문화 혼인이 다시 늘어나면서 지난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12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202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3416명으로 전년보다 10.4%(1266명) 증가했다.
다문화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은 2012년(2만2908명) 이후 처음이다. 증가율은 2009년(41.5%) 이후 가장 높았고, 증가 규모는 2011년(1702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출생아 가운데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6%로, 전년보다 0.3%포인트 확대됐다. 2020년 6.0%에서 2022년 5.0%로 줄었다가 2023년 5.3%, 2024년 5.6%로 2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문화 출생아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로 주춤했던 다문화 혼인의 회복세다.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1450건으로, 전년보다 5.0%(1019건) 늘었다. 2019년(2만4721건) 이후 최대치다. 코로나19로 2020년(-34.6%), 2021년(-13.9%) 급감했던 다문화 혼인은 2022년(25.1%), 2023년(17.2%)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혼인 형태별로는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결혼이 71.2%로 가장 많았고,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은 18.2%, 귀화자와의 혼인은 10.6%였다.
다문화 혼인 부부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편이 37.1세, 아내가 29.7세였다. 남편 연령대별로는 45세 이상이 32.7%로 가장 높았으며, 아내는 20대 후반(23.4%)이 가장 많고 30대 초반(23.0%)이 그 뒤를 이었다. 부부 간 연령 차이는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경우가 37.3%로 가장 많았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혼인 건수가 2만 건 아래로 떨어졌던 2020~2022년을 제외하면 2008년(53%)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15.9%), 태국(10.0%) 순이었다. 남편의 출신 국적은 미국(7.0%), 중국(6.0%), 베트남(3.6%)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지난해 다문화 이혼은 7992건으로 전년보다 166건(2.0%) 줄었다. 다문화 이혼은 2011년(1만4450건) 이후 감소세를 이어오다 2023년 반짝 증가했지만, 1년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혼한 다문화 부부의 평균 연령은 남편 50.5세, 아내 41.2세였으며, 결혼 생활 지속 기간은 평균 10.3년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결혼 생활이 5년 미만인 부부의 비중이 31.3%로 가장 높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