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과 인재 양성 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과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장을 도입하고 피지컬 AI 등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CEO 서밋 참석 차 경주를 찾은 황 CEO를 접견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 등이 참석했다.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고 강조한 이 대통령은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 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번 접견에선 크게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 협력 △AI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 등이 논의됐다. AI 인프라와 관련해 엔비디아의 최신 GPU 26만 장을 공급받는 등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구축·운용 기술 협업을 병행하기로 했다.
민간에선 현대차, 네이버가 피지컬 AI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접견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대차, 엔비디아는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현대차는 AI 자율차를 비롯해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인재 양성 추진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클라우드 및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등으로 모빌리티 산업과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이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에 적극 투자한다.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이와 함께 AI 기반 첨단기술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와 국내 산·학·연 간 기술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전자,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세대학교와는 지능형 기지국 기술의 개발과 상용화를 목표로 협력한다.
국내 AI 우수 인재 및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AI 전문가, 엔지니어의 실습 중심 현장교육 확대 등 중장기적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eeyo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