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보유 중인 서울 서초구 우면동 아파트 한 채도 추가로 처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서울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이 원장은 최근 금감원 임직원에게 이 같은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아파트가 특정되면서 유튜버들이 수시로 찾아와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데 대해서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 소재의 동일한 아파트를 2002년과 2019년 각각 구입했다. 두 아파트 모두 전용면적 130㎡로 동일하다. 하지만 올해 금감원 국회 국정감사에서 ‘다주택자 논란’이 불거지자 이달 29일 아파트 한 채를 처분했다. 이 아파트는 2002년에 산 아파트로 알려졌다. 이 원장이 남은 한 채도 매도할 경우 ‘무주택자’가 된다. 앞서 이 원장은 국감에서 강남 아파트 두 채 외에도 서울 성동구와 중구에 각각 상가를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행보는 공직자로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판단이 깔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감에서는 이 원장을 포함한 고위 공직자들이 투자용 고가 아파트를 소유하거나 다주택자라는 점을 근거로 “10·15 부동산 대책은 실패했다”는 비판이 야당을 중심으로 강하게 제기됐다.
부동산에서 주식시장으로의 ‘머니 무브(자금 이동)’에 역점을 둔 새 정부의 정책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올 6월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주식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국민들이 주식 투자로 중간배당도 받고 생활비도 벌 수 있게, 부동산에 버금가는 대체투자 수단으로 만들면 기업의 자본 조달도 쉬울 것이고 대한민국 경제 전체가 선순환될 것”이라며 증시 부양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밝혔다. 정부의 주식시장 활성화 의지에 코스피 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사천피’를 넘어서며 올 들어 세계 주요 지수 중 상승률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이 원장이 아파트 한 채를 처분한 계약금 2억 원으로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는 주식 상품에 가입한 점도 이와 맞닿아 있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이 원장은 금감원장 취임 직후 “부동산 부문 자금 쏠림의 고리를 끊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