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네이버, 카카오와 손잡고 인공지능(AI)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I 국민비서(가칭)' 서비스를 연내 선보인다. 별도 앱 설치나 복잡한 로그인 없이 네이버와 카카오톡에서 바로 전자증명서 발급 등이 가능해진다.
27일 IT업계에 따르면 행안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네이버, 카카오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랫폼에서 공공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취지다 .
행안부는 네이버와 카카오에 각각 연내 AI 국민비서 시범 서비스를 도입한다. 이는 복잡한 절차 없이 일상적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범 서비스에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서비스가 우선 적용된다. 두 회사는 다양한 공공기관 API를 AI 기술과 연동해 서비스를 구현한다. AI 통신 규약인 MCP(Model Context Protocol)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이용자가 대화를 통해 완결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자체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웹과 앱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미 SRT 승차권 예매, 국세청 미환급금 조회 등 10개 이상의 공공서비스를 운영 중인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향후 개인화 추천 기능도 추가해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내에서 AI 국민비서를 구현한다. 자체 개발 AI 카나나가 사용자 의도를 파악해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AI 에이전트 빌더로 공공, 지역, 지식 등 다양한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만들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카오는 이와 함께 카나나 세이프가드를 적용해 유해 콘텐츠를 사전 차단한다. AI가 윤리적 가치를 위반하는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술로, 서비스의 신뢰성과 책임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o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