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인공지능(AI) 분야 국내외 석학들과 최신 연구성과와 국제 협력방안을 공유하는 ‘AI 프론티어 국제 심포지엄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AI 분야 세계 4대 석학이자 한미 AI 공동연구소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공동소장을 맡은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기조강연을 맡고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과 토론을 갖는다.
르쿤 교수는 ‘월드 모델 학습’을 주제로 발표한다. 세계적 한인 AI 연구자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도 ‘생성형 AI의 민주화: 스케일링 법칙을 초월하여’를 주제로 기조강연한다. 이후 배 부총리의 주재로 르쿤 교수, 최 교수, 또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공동소장을 맡은 조경현 뉴욕대 교수와 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을 맡은 김기응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AI 석학 좌담회를 진행한다. AI 거버넌스,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 AI 기술의 사회적 영향력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국가AI연구거점과 글로벌AI프론티어랩이 추진해 온 공동연구의 성과와 심화 연구 방향을 공유하는 세션도 진행된다. ‘국가AI연구거점’ 세션에서는 일본, 프랑스, 아랍에미리트(UAE) 등의 해외 연구자들과 국내 연구진이 함께 차세대 AI 기초 연구 및 실세계 자율성을 위한 피지컬 AI를 주제로 다양한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 ‘글로벌AI프론티어랩’ 세션에서는 새로운 핵심 AI 알고리즘 및 신뢰 AI를 주제로 뉴욕대, 연세대 등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헬스케어 및 로보틱스 분야의 첨단 AI 응용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과기정통부는 또 29일까지 ‘글로벌AI프론티어랩 워크숍’을 열어 한미 양국의 AI 핵심 알고리즘, AI 신뢰책임성, AI 헬스케어 등 연구현황을 공유한다. 배 부총리는 "이번 심포지엄이 세계적 AI 석학들과 국내 연구진이 한자리에 모여 대한민국 AI 연구가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고 AI 기술의 새로운 프론티어를 개척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국내 AI 연구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AI 연구 협력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oki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