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현재 진행 중인 한미 관세 협상에서 미국 측이 전액 현금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20일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기자들을 만나 “미국이 여전히 전액 현금 투자 방식을 고집하고 있느냐”는 질의에 “거기까지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한국의 외환시장 여력을 고려할 때 3500억 달러를 3~4년 내에 투자하는 것은 어렵다는 한국 측의 요구를 미국이 어느정도 수용했다는 이야기다. 김 장관은 “지금 거기까지 갔으면 이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미국이 상당히 우리 측의 의견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일제히 미국 워싱턴DC를 찾아 관세 협상에 임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면담 및 만찬을 함께하는가 하면 한미조선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백악관 산하 예산관리국(OMB)을 방문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한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미국과 협의를 하고 있다”며 “그 가능한 범위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을 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김 장관은 관계부처와 논의한 뒤 추가 방미가 필요하다면 언제든 다시 미국행 비행기를 타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장관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양국 정상이 만나는 계기에 협상을 만들어보자는 공감대는 있다”면서도 “그 협상이 국익에 맞느냐가 더 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APEC 정상회의 기간 중 협상 타결을 목표로 하되 시간에 쫓겨 불리한 협상을 하지는 않겠다는 것으로 읽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ooj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