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법원이 의료 현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돼 온 의사들의 ‘악필 처방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결단을 내렸다. 의료 보고서와 처방전이 알아보기 어려운 손글씨로 작성돼 환자 안전을 위협하고 법적 분쟁 시에도 혼란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법원이 정부에 직접 개선 명령을 내린 것이다.
최근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인도 펀자브-하리아나 고등법원은 중앙정부와 보건당국에 의대 교육과정에 ‘손글씨 교습’을 포함하고 2년 이내 전국 병원에 디지털 처방전 시스템을 전면 도입하라고 지시했다.
법원은 “읽기 어려운 처방전과 의료 보고서로 인해 사법기관조차 내용을 해독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읽을 수 있는 처방전은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강조했다. 담당 판사는 “의사는 문장 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명확하게 써야 한다”며 “디지털 시대에 아직도 약사만 알아볼 수 있는 처방전을 작성하는 현실은 충격적”이라고 질타했다.
이번 판결은 인도 의료계 전반에 처방전 작성 방식의 대대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오디샤 주 고등법원은 과거 의료 보고서가 ‘지그재그 필체’로 작성돼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의료 현장의 악필 문제는 인도뿐 아니라 과거 여러 나라에서도 공통적으로 지적돼 왔다. 1999년 미국에서는 악필로 인한 처방 오류로 약 7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으며, 같은 해 텍사스주 법원은 의사의 휘갈긴 처방전 때문에 환자가 심장마비로 사망한 사건에서 의사에게 수십만 달러의 배상 책임을 물었다. 2019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한 여성이 안구건조증 약 대신 발기부전 치료 연고를 잘못 처방받아 얼굴에 화상을 입는 사고도 있었다. 우리나라 역시 과거 종이 처방전이 일반적이던 시기에는 의사의 악필로 인한 조제 오류가 발생했으나,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처방 과정이 전산화돼 이러한 문제는 사실상 사라졌다.
한편 구글은 2022년 의사의 악필 처방전을 해독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손으로 쓴 의료 문서에서 의약품 이름을 자동 인식해 강조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구글은 “의료 기록의 디지털화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