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서울 홍은동의 한 공영주차장. 근처를 지나던 초등학생들이 별안간 겁에 질려 달아났다. 창문이 내려간 차량 너머로 “귀엽다, 집에 데려다주겠다”는 20대 남성들의 말이 들려왔기 때문이다. 운전석과 조수석에 앉은 두 명은 특히 적극적이었다. 뒷좌석에 있던 또 다른 남성이 “하지 말라”고 제지해도 소용없었다.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친구 사이였던 이들 3명은 짬뽕을 먹고 귀가하던 중이었다고 한다.
서울 서대문경찰서가 5일 공개한 미성년자 유인 시도 사건 장면이다. 불과 10분 새 이들의 범행이 세 차례 이어져 4명의 초등학교 남학생들이 유괴를 당할 뻔했다. 하지만 피의자 체포가 뒤늦게 이뤄지면서 초동 대응이 허술했다는 비판도 커졌다.
서대문경찰서는 이날 브리핑을 열고 초기 수사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했다. 홍은동 초등학생 유인 사건의 최초 신고는 지난달 30일 접수됐다. 당시 경찰은 범행 차량을 특정하지 못하자 ‘오인 신고’라고 결론지었다. 이후 이달 2일 추가 신고가 접수되고 나서야 범행 사실이 파악됐다. 무심히 지나친 다른 아동들과 달리 일부가 도주하는 모습이 CCTV에 포착되면서다. 경찰은 해당 차량을 추적해 3일 피의자들을 검거했다. 경찰 관계자는 “최초 신고가 흰색 스타렉스로 접수됐지만 실제 차량은 회색 쏘렌토여서 소통에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를 두고 당초 확대 영상 확인이나 적극적 추적이 이뤄지지 않아 ‘놓칠 뻔한 사건’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초기 수사 당시 CCTV에는 범행 차량이 약 4초간 멈춰 서 있는 장면이 담겼다. 이를 놓친 채 최초 신고부터 검거가 이뤄지기까지 4일이 걸리는 사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위험도 있었다.
부실했던 초기 대응으로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진 모양새다. 서울 강남에 사는 한 학부모는 “신고자가 차종까지 정확히 알려줘야 한다는 뜻인지, 경찰 해명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초기에 사건을 부정하다 뒤늦게 태도를 바꿔 더 불안하다”고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관내 초등학교에 “저학년이나 혼자 등하교하는 학생들이 보호자와 동행할 수 있도록 권장해달라”고 공지했다.
경찰은 피의자들의 휴대폰을 압수해 포렌식을 진행하는 한편 유사 범행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 인근 순찰을 늘리기로 했다. 서울서부지법은 이날 “혐의 사실과 고의 등에 다툼의 여지가 있고 증거 인멸이나 도망의 염려가 크지 않다”며 운전·조수석에 있던 2명에 대해 청구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나머지 1명도 뒷좌석에 앉아 “하지 말자”는 제지 발언을 한 점이 참작돼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를 받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