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조선기자재 산업의 체질 개선과 기업맞춤형 지원정책 마련을 위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2000여 개 조선기자재 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실태조사에 나선다. 이번 조사는 조선기자재 기업의 현황과 구조적 특성, 역량을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오는 9월 30일까지 이어진다. 부산진해경자청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장기 산업정책 수립의 기반을 다지고 기업의 현실적인 수요를 반영한 지원사업을 설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실태조사와 함께 부산·경남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기업 1000여 곳을 대상으로 ‘기업지원 수요조사’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인력·기술·수출·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를 파악하고 현장 밀착형 정책사업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부산진해경자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단순한 통계 수집이 아닌 조선기자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생태계 재편을 위한 전략 수립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인근 지역은 조선기자재산업의 전략적 거점으로 꼽힌다. 부산신항과 인접해 있어 수출에 유리할 뿐 아니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과 거점기업이 집적된 국내 최대 조선기자재산업 클러스터다. 부산진해경자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종합 분석해 조선기자재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사업을 발굴하고 단계별 추진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은 “조선기자재산업은 지역산업의 핵심 축인 만큼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며 “국내 조선산업이 장기 호황기에 진입하는 이 시기에 중소 조선기자재기업 또한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맞춤형 지원정책을 설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