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서비스와 LG전자(066570)가 대외 기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에서 휴대전화·컴퓨터 애프터서비스(AS) 부문 1위 기업에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컴퓨터와 휴대전화 부문의 경우 각각 24년, 22년 연속 1위다. 고품질 서비스 제공과 고객 관점의 친절한 응대·편리한 서비스 이용 경험 사회적 가치 실현 등 조사 부문 전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산업정책연구원이 발표한 2025 국가서비스대상에선 가전제품 AS 부문 1위에 올랐다. 가전제품 상태를 미리 확인해주는 사전점검, 체계적인 사후관리, 고객 맞춤형 케어 3단계 차별화 서비스를 인정 받았다.
삼성전자서비스는 2000년 국내 최초로 컴퓨터, 노트북 등 IT 제품에 원격 진단 서비스를 도입한 데 이어 스마트폰, 가전제품까지 범위를 확대했고 최근에는 고객이 문제를 인식하기 전 알림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사전 케어 알림, 고객 약속 자동 조정 등도 도입했다.
LG전자는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에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가전제품 AS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정확성과 전문성·진정성·적극성·이용 편리성·사회적 가치 지향성 등 주요 평가항목에서 두루 업계 최고 점수를 받았다. LG전자는 AI와 디지털전환(DX) 기술을 수리와 상담에 활용해 전문적이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현장에서 활용하는 'LG 스마트 체크' 앱은 서비스 매니저가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무선 연결로 제품 상태와 고장 원인을 진단할 수 있게 해준다. 서비스 매니저와 대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결과를 요약해 고객에게 안내해주는 'AI 수리 어시스턴트'를 통해 서비스 품질도 크게 높였다.
정연채 LG전자 고객가치혁신부문 부사장은 "AI와 DX 기반 혁신 솔루션을 바탕으로 고객의 시간과 노력을 아껴드리는 한편, 감동까지 전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