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된 데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식품 기업 담합 의혹 조사에 착수했다. 다만 이미 가격 줄인상 행렬이 시작돼 당분간 장바구니 부담은 사라지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식품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농심·오리온·롯데웰푸드·크라운제과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식품 가격 인상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식품 기업들이 최근 잇따라 빵·과자 등 가공식품 출고가를 인상했는데 그 과정에서 식품 기업들이 ‘짬짜미’로 가격을 올린 것이 아닌지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맛김(17.9%), 초콜릿(15.5%), 김치(15.3%) 등은 모두 두 자릿 수 상승률을 기록했고 커피·빵도 각각 1년 전보다 8.3%, 6.3%씩 올랐다.
가공식품 물가가 크게 뛴 것은 식품 업체들이 최근 제품 가격을 일제히 올리고 나섰기 때문이다. 농심은 지난달 17일 대표 제품인 신라면 가격을 기존 950원에서 2023년 6월 수준인 1000원으로 올리는 등 라면과 과자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했다. 지난해 한훈 당시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방문했을 당시 “올해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고 했던 오리온도 지난해 12월부터 초코송이·비쵸비 등 과자 제품 13개 가격을 올렸다.
이와 관련해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최근 물가 상승으로 국민 생활이 어렵고 힘든데 가격 인상이 담합 등으로 인한 것인지 공정위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 있는지 철저히 감시하라”고 간부들에게 지시한 바 있다.
한편 식품 업계의 가격 인상 여파는 상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팔도가 14일부터 팔도비빔면·왕뚜껑·비락식혜 등 일부 라면·음료 가격을 판매가 기준 최대 7% 올리기로 한 데 이어 이마트24·GS25·CU 등 주요 편의점들의 자체브랜드(PB) 라면 제품도 줄줄이 인상됐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