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50대 상장사가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이 전년 대비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 유입이 늘어나면서 신규 투자도 활발하게 추진했다. 다만 일부 기업에서는 순차입 부채가 급증하며 재무 건전성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10일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064850)에 따르면 총자산 3000억 원 이상 시가총액 상위 50개(금융업 제외) 상장사의 지난해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총 213조 2562억 원으로 전년(147조 7938억 원)보다 44.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136조 6969억 원으로 역성장하면서 150조 원대 이하로 쪼그라든 지 2년 만에 200조 원을 돌파했다.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이란 기업이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들어오고 나간 현금의 양을 의미한다. 즉, 기업이 주요 수익 창출 활동을 하면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외부 자금에 의존하지 않고 부채를 상환하거나 신규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실제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96조 81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61.7% 증가하며 대내외 경영 여건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됐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기업의 현금 흐름이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시총 1위 삼성전자(005930)의 지난해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2023년 44조 1374억 원에서 72조 9926억 원으로 1.6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000660)는 4조 2782억 원에서 29억 7958억 원으로 무려 6배가 넘게 뛰었다. 지난해 인공지능(AI) 발전과 함께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독보적인 선두 주자로 자리를 잡으며 매출이 성장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한 2차전지 업종의 경우 대다수 상장사가 영업 활동을 통한 현금 순유입이 늘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4조 4442억 원에서 5조 1117억 원으로, 포스코퓨처엠(003670)은 -4448억 원에서 6709억 원으로 증가했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206억 원에서 6701억 원, 809억 원에서 4888억 원으로 각각 늘었다.
영업 활동을 통한 현금 유입이 늘어나며 곳간이 쌓인 상장사들은 적극적으로 신규 투자에 나섰다. 지난해 50대 기업의 투자 활동 현금 흐름 총순유출액은 241조 8789억 원으로 2023년(158조 4678억 원) 대비 52.6% 증가했다. 이는 기업이 돈을 벌어서 투자를 늘렸다는 뜻으로 음(-)의 부호일 때 미래 수익 창출을 위해 현금을 사용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반면 지난해 50대 상장사들의 재무 활동 현금 흐름은 총 12조 3434억 원으로 전년 대비(39조 9322억 원) 절반 이하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조에 맞춰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 주주 환원에 자금을 적극적으로 투입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순차입 부채가 같은 기간 47조 원 이상 증가한 320조 원으로 차입을 늘려 배당을 확대했거나 단기 차입이 증가했을 수도 있다고 짚었다.
전진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이 늘었어도 설비 투자를 늘렸거나 인수합병(M&A) 등으로 더 많은 현금을 사용했을 경우 차입이 필요하다”며 “지난해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으로 개별 기업이 배당 및 자사주 매입이 늘어나 재무 활동 현금 흐름 규모가 감소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부채가 증가하며 재무 부담이 증가한 상장사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고려아연(010130)은 영풍·MBK파트너스와의 경영권 분쟁으로 순차입 부채 규모가 -1조 1844억 원에서 2조 3135억 원으로 급등했다. 순차입 부채란 기업의 총차입금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차감한 것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부채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다. 실제 고려아연의 부채 비율은 2023년 24.9%에서 지난해 94.7%로 2배 이상 올랐다.
순차입부채 증가율이 가장 가팔랐던 기업은 한화오션(042660)으로 1년 새 무려 3906.29% 급등했다. 지난해 한화오션의 영업 활동 현금 순유출액은 2조 9046억 원, 투자 활동은 1조 1101억 원으로 차입을 늘려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화오션의 지난해 연말 기준 총차입금은 5조 2659억원으로 전년(2조 1912억 원)보다 140.3% 급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