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해 준비했던 보복 관세 조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미국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나온 결정이다. 갈등을 일단락하고 협상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10일(현지시간) 입장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는 협상의 기회를 제공한 것”이라며 “EU도 보복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고 미국과 건설적인 협상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복관세는 원래 15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다. EU는 전날 회원국 표결을 거쳐 미국산 상품에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기로 확정하고,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첫 대응에 나섰다. 특히 자동차와 일부 부품에도 25%의 고율 관세가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발표 수 시간 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따라 EU 대상 관세율도 당초 예고된 20%에서 10%로 낮춰졌다. EU도 이 변화에 발맞춰 대응 수위를 조절한 셈이다.
EU는 이번 조치가 어디까지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는 성격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 일시중단 버튼을 눌렀다고 설명했다. 올로프 질 EU 무역 담당 대변인은 “우리는 협상의 여지를 남기고 싶다”며 “미국 측과 대화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별도의 성명에서 자동차와 모든 공산품에 대한 '상호 무관세' 체결을 미국에 거듭 제안했다. EU는 이번 협상에서 미국산 석유·가스 수입 확대 요구와도 맞서야 하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EU의 무관세 제안을 거부하며 에너지 수입 확대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EU 내부에서는 이번 결정이 성급한 양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대한 미국의 기본 관세(각 10%, 25%)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도 전에 EU가 한 발 물러섰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EU는 협상에 대한 기대와 동시에 대비 태세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90일 후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보복 조치는 발효될 것”이라며 “추가적인 대응 조치에 대한 준비도 계속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