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해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등을 통해 미국 측의 구체적인 입장과 향후 계획을 파악하겠다”며 “25% 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대외경제자문회의’를 열고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미국 관세 조치의 배경과 의도를 짚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장상식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서정만 무역안보관리원장, 박정현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민간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적자·재정적자 해소, 효과적인 대(對) 중국 견제를 위해 대외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으며 관세 조치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내 이해관계자별로 상이한 반응과 국가별로 엇갈린 대응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전개 양상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최 부총리는 “여타국 동향을 면밀히 분석해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팀(TF)을 통해 대미 협의 방향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주 자동차산업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부문과 업종별 대책도 신속히 마련해 나가겠다”며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최근 미국의 관세 조치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해 과도한 변동성에는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