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과 엇갈린 경기인식을 드러내온 정부가 결국 ‘내수 부진’을 인정했다.
14일 기획재정부가 최근 경제동항(그린북) 2월호에서 “내수 회복 지연”을 처음으로 언급했다. 일찌감치 내수 부진에 대한 경고음을 내온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달리, 기재부는 한동안 “내수 회복 조짐”이란 평가를 고수해왔다. 이후 비상계염 등의 여파에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내수 관련 언급을 빼더니 이달에는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힌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2달 연속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총평했다.
고용에 대한 평가는 다소 결이 달라졌다. 지난달 ‘고용 둔화’라는 표현이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 지속’으로 바뀌었다. 이날 발표된 1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 5000명 증가했지만 건설업 취업자가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16만 9000명)으로 줄어든 데다 청년층 취업자도 2021년 1월 이후 최대 폭(21만 8000명) 감소한 영향이다.
대외 여건을 놓고는 미세 조정이 있었다. 지난달 ‘글로벌 경제전반적 회복세’를 담았는데 이달에는 이를 삭제하고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를 새로 추가했다.
이에 정부는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