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운영사 메타가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의 경영권 인수를 추진한다.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AI 반도체에 대한 자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려는 목적이다.
1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는 메타가 퓨리오사AI의 인수를 목적으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이르면 이달 중 인수 절차가 마무리될 것이라고도 했다.
퓨리오사AI는 리벨리온과 함께 국내 AI 반도체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투자 유치에서 약 6800억 원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유니콘(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의 비상장사)으로 성장이 유력했다.
퓨리오사AI는 삼성전자와 미국 반도체기업 AMD 출신의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한 AI 반도체 스타트업이다. AI 반도체 개발 단계만 놓고 국내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곳으로 평가된다. 퓨리오사AI는 2021년 1세대 AI 반도체인 '워보이'를 선보였고, 지난해 8월에는 파운드리 업체 TSMC를 통해 차세대 제품인 '레니게이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레니게이드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과 비교해 성능은 조금 부족하지만, 전략 사용량과 가격이 낮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메타가 퓨리오사AI 인수를 검토하는 것은 자체 AI 반도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메타는 AI 서비스 강화를 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인데, 여기에 탑재될 AI 반도체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선 관련 기술 확보가 꼭 필요하다. 또 엔비디아로부터 종속돼 있는 AI 반도체 수급 구조를 개선하고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도 볼 수 있다.
이번 메타의 투자가 마무리되면 퓨리오사AI는 유니콘으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리벨리온에 이어 국내 AI 반도체 분야에서 두 번째 유니콘이 탄생하게 되는 셈이다. 리벨리온은 지난해 SK그룹 자회사인 사피온과의 합병을 통해 기업가치 약 1조 3000억 원을 인정받은 바 있다.
한편, 퓨리오사AI의 국내 투자자로는 한국산업은행, DSC인베스트먼트(241520), IMM인베스트먼트, 아이온자산운용, 퀀텀벤처스코리아, 네이버(NAVER(035420)) 등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