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출연연구기관이 개발한 공공 기술과 시장의 민간 수요를 잇는 중개 플랫폼을 만들어 기술사업화의 ‘매치 메이커’ 역할을 하겠습니다.”
김영식(사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11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취임 기념 기자 간담회를 갖고 출연연의 기술사업화 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출연연의 연간 예산은 약 5조 원인 반면 기술이전 성과는 2000억 원대에 그친다”며 실질적인 연구개발(R&D) 성과 창출을 강조한 만큼 산하 23개 출연연을 총괄하는 NST도 이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것이다.
“기술사업화는 시장 논리에 맡기고 NST는 출연연과 민간을 잇는 중개자, 즉 매치 메이커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김 이사장이 제시한 해법이다. 그는 “출연연들이 기술사업화 전담 조직(TLO)을 갖고 있지만 역할에 한계가 있다”며 “대신 수요와 공급 지도, 즉 ‘NS맵’을 만들어 활성화하는 게 NST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기술이전은 발생하는 매출에 따라 수수료 개념의 기술료를 받을 수 있는 계약 방식이다. 현재는 주로 계약 시 고정 기술료를 받는 방식이라 향후 기술의 파급력이 커져도 출연연이 대형 성과를 내기는 힘들다.
NST는 연구자들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을 적극 지원해 출연연의 R&D 역량 자체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달 미국 오픈AI가 자국 국립 연구소들의 1만 5000여 명의 과학자를 위해 추론형 AI 모델 ‘o1’을 제공하기로 하는 등 급격히 발전하는 AI가 연구 도구로써 전 세계의 과학기술 혁명까지 가속시키는 상황이다. 김 이사장은 “산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하는 오픈소스(개방형) AI를 개발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관련 대응 중”이라고 전했다. NST는 또 과기정통부와 협력해 출연연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연구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해외 거점에 전문가를 파견해 출연연의 국제 R&D 협력을 확대하겠다”며 “저명 인사로 구성된 정책자문위원회를 신설해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등으로 출연연의 신임 원장 선임 절차가 잇달아 지연됐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은 절차가 정상화돼 조만간 (지연됐던) 모든 출연연 원장 선임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