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035720)와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손을 잡았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 카나나에 오픈AI의 AI 모델을 탑재할 뿐만 아니라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무대에 함께 올라 이 같은 전략적 제휴 사실을 공개했다. 정 대표는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오픈AI는 카카오의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첨단 AI를 제공하고 이 기술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통합해 카카오 이용자들의 소통과 연결 방식을 혁신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국내에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기업은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카나나에 자체 언어 모델과 오픈AI의 모델을 함께 활용한다. 카카오가 연내 출시 예정인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 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카카오톡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도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카카오는 그간 독자적인 초거대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동시에 이미 개발된 다양한 AI 모델을 필요에 맞게 선택해 구현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챗GPT 기술을 카나나 서비스를 포함해 다양한 프로젝트에 론칭하게 된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최신 기술 활용을 넘어 카카오의 5000만 사용자를 위한 공동 제품을 개발 중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양 사는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카카오는 챗GPT 엔터프라이즈 또한 도입한다. 올트먼 CEO는 “앞으로 공동 제품을 많이 만들 수 있으면 좋겠고, 과학적 발견도 함께해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