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술 사업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성과확산촉진과를 부처 내 자율기구로 만들어 업무에 착수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기술 사업화에 장관직을 걸겠다”고 밝힌 뒤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는 셈이다. 신설 조직은 기술 사업화 확산을 최우선으로 ‘부처와 사업간, 투자기관’ 간의 연계에 방점을 둘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기관과 투자기관, 부처 별로 분절, 파편화된 기능을 하나로 모아 일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갖춘 전담조직이 출범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24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최근 유 장관은 연구성과확산촉진과를 장관 직속으로 신설하고 원자력연구개발과장이었던 최문기 과장을 임명하는 등 실무자를 각각 인사조치했다. 10여년 넘도록 과학기술계가 중요하다고만 했지 실체없이 시간만 보낸 기술 사업화에 과기정통부 내부에 전담 부서가 만들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술 사업화는 연구소에서 만든 기술이 상용화돼 실제 사업까지 이어지는 것을 뜻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1990년대 개발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이 상용화돼 2세대(2G) 이동통신으로 이어진 사례가 대표적이다. 윤석열 정부가 수없이 강조해온 혁신형 연구개발(R&D)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과학기술계의 혁신을 위해선 R&D예산상의 문제가 아니라 기술 사업화라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게 유 장관의 의지라는 설명이다.
실제 유 장관은 학계에 있을 때에도 연구개발(R&D)이후 사업화로 연결되지 않는 과학계의 현실에 문제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장관 취임 직후에는 ‘장관 자율기구제’를 활용해 연구성과사업화촉진을 위한 조직 설치 및 운영을 행정예고부터했다. 최근 업무를 시작한 최 과장은 “구체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우선 출연연 간담회와 학회 등과의 소통으로 사업화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취합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장관도 지난 15일 정부의 R&D 성과를 사업화로 연계하는 '기술사업화'에 장관직을 걸고 매진하겠다고 밝힌 이후 3일 만인 18일 정부 출연연 기술산업화 지원 부서장들과 간담회를 가졌고, 곧이어 다음날부터는 과학기술분야 학술진흥 대표 릴레이 소통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다.
기술 사업화 로드맵 구축 등 구체적인 정책은 빠르면 연말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 훈령에 따르면 연구성과확산촉진과는 사업분석 및 사업간 연계 강화와 투자지원 체계의 고도화를 우선 수행 업무로 두고 있다. 무엇보다 파편화된 사업수립 업무를 연계시켜 사업화 혁신 방안의 수립을 도모키로 했다.
다만 짧은 활동기간은 변수다. 장관 직권의 자율기구라는 한계 상 연구성과확산촉진과의 활동기간은 내년 4월 28일까지 6개월이다. 과기정통부는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의 승인 등이 필요한 조직개편 대신 자율기구를 통해 조직을 신설해 서둘러 대응하겠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