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 계열사 LS MnM이 전기차 배터리 소재 사업에 진출한다.
LS MnM은 이사회를 열고 울산 온산제련소 인근 9만 5000㎡ 부지를 활용해 2차전지 소재를 생산하는 사업(EVBM온산)에 6700억 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승인했다고 27일 밝혔다.
투자를 통해 황산니켈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고 최근 기업 결합이 승인된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LLBS)과 함께 LS그룹의 배터리 소재 사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생산 시설은 니켈중간재인 혼합수산화물(MHP) 정련 설비와 폐배터리를 전처리한 블랙매스(Black Mass) 정련 설비를 연결해 효율성을 높인 콤플렉스 공장이다. 이곳에서 2차전지 전구체의 핵심 소재인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을 생산할 예정이다. 블랙매스에 함유된 리튬도 별도 공정에서 회수해 양극재 주요 소재인 수산화리튬을 생산한다.
LS MnM은 내년 상반기 공장 착공 후 2026년 준공과 시운전을 거쳐 2027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한다. 황산니켈 생산 능력은 연간 2만 2000톤(니켈메탈 기준)이다. 생산 시설은 온산제련소 인근 부지에 건설해 기존 동제련소 인프라를 활용하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번 1단계 투자에 이어 2단계로는 새만금에 4만 톤의 콤플렉스 공장을 증설해 2029년에는 전기차 기준 약 125만 대 규모에 해당하는 황산니켈 6만 2000톤을 생산할 예정이다.
도석구 LS MnM 최고경영자(CEO)는 “EVBM온산을 통해 그룹의 배터리 비즈니스가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게 된다”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K배터리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회사 가치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