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135일간의 대장정 끝에 17일 달 임무궤도인 달 상공 100km 진입을 시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047810)연구원은 17일 오전 2시45분께 다누리가 1차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LOI)을 한다고 15일 밝혔다.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은 다누리를 달 상공 100km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사용해 궤도선의 속도를 줄이는 것이다. 항우연에 따르면 지난 8월5일 발사 된 이후 지구-달 전이 궤적을 따라 총 594만km를 비행한 다누리는 17일 달에서 약 108km 거리까지 근접한다. 이때 이뤄지는 1차 기동은 다누리가 달을 지나치지 않고 달 중력에 안정적으로 포획되도록 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기동이다. 이 과정에서 약 13분간 추력기를 가동해 다누리의 속도를 약 시속 8000km에서 시속 7500km까지 감속하는 동시에, 목표한 위치까지 정확히 맞춰야 한다. 이는 총알과 같은 속도(시속 약 3600km)로 이동 중인 달 궤도에 총알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다누리(시속 7500~8000km)를 진입시키는 고난이도의 작업이다. 1차 진입기동의 결과는 데이터 분석 후 19일 나올 예정이다.
이후 다누리는 1차 진입기동을 포함 28일까지 총 5차례의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거쳐 달 임무궤도에 안착할 예정이다. 2차 진입기동은 21일, 3차는 23일, 4차는 26일 마지막 5차는 28일 이뤄진다.
다누리는 달 궤도에 성공적을 안착하면 2023년 1월부터 탑재체 초기동작 점검 및 본체 기능시험을 진행한다. 이후 2월부터 12월까지 달 궤도상에서 달 궤도선 내 6개 탑재체 운영을 통해 과학관측데이터 수신 및 기술검증 시험을 수행한다.
한편 항우연은 차세대발사체사업단을 신설하는 등 조직 개편에 나섰다. 항우연은 ‘발사체연구소’를 신설하고 그 아래에 누리호 3~6차 발사를 맡을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과 ‘차세대발사체사업단’ 등을 두는 조직 개편안을 내놨다. 이에 누리호를 개발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는 내년 6월까지 한시적으로 존속한 뒤 해산한다.
이와 관련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조직 개편에 항의하며 과기정통부에 보직 사퇴서를 제출했다. 고 본부장은 사퇴서를 통해 “항우연은 조직개편으로 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연구개발 조직을 사실상 해체했다”며 “이러한 체계로는 누리호 3차 발사, 산업체 기술 이전 등 산적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