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 이어 5월까지 두 달 연속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택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에서, 은행보다 저축은행·카드사 등 제2금융권에서 대출이 늘어났다.
10일 금융 당국이 발표한 ‘5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 8000억 원 증가했고 전년 대비 3.4% 늘었다. 가계대출은 1월 전월 대비 7000억 원 감소한 것을 시작으로 2월 3000억 원, 3월 3조 6000억 원 감소했다가 4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주담대는 은행집단대출 중심으로 증가 폭이 축소돼 1조 6000억 원 늘었고 기타 대출은 2000억 원 늘며 올 들어 첫 증가세를 나타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 폭이 축소됐으나 제2금융권 가계대출이 여신전문사·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 원 증가해 전월(1조 2000억 원) 대비 증가세가 축소됐다. 주담대는 전세대출(1조 1000억 원)을 중심으로 8000억 원 늘었으나 집단대출(2000억 원) 증가 폭 축소로 전월(2조 원)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둔화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1조 4000억 원 늘어나며 4월(1000억 원)에 비해 대폭 뛰었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권만 5000억 원 감소했고 보험(3000억 원)·저축은행(6000억 원)·여전사(1조 원)는 모두 늘었다.
기업대출은 5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말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1119조 2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3조 1000억 원 증가했다. 전월 대비 대기업이 4조 3000억 원, 중소기업이 8조 9000억 원 증가했다.
금융 당국은 전세 관련 자금 수요 및 5월 가정의 달과 관련한 가계 자금 수요가 높은 데 따라 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전국의 전·월세 거래량은 올해 1월 20만 4000가구에서 4월 25만 8000가구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