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년 10명 중 7명은 향후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열심히 일해도 부자가 될 가능성은 작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만 18세~29세 5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2.9%는 향후 청년 일자리 상황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9.5%는 원하는 직장에 취업할 가능성도 작다고 봤다.
다른 조건이 만족스럽다면 좋은 일자리의 최소 연봉은 얼마냐는 질문에 40.2%는 3천만~4천만 원을 꼽았다. 4천만~5천만 원 20.6%, 2천만~3천만 원 15.2%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청년 응답자 65.2%는 평생직장은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희망하는 은퇴 시기는 61세~65세가 3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56세~60세(26.3%), 만 66세 이상(19.7%)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청년 10명 중 6명은 정년 연장이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했다.
정년연장을 해야 한다면 근로 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도 33.6%나 됐다. 임금피크제 도입(27.0%), 직무능력 중심 임금체계 도입(호봉제 폐지·22.0%), 연금 수급 연령 상향(17.2%) 등의 답도 나왔다.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일자리 정책 방향은 노동시장유연화가 22.4%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고용기업 인센티브 확대(18.7%), 창업 활성화(15.5%), 기업 성장 방해하는 규제 개선(13.6%), 교육시스템 개편(10.9%), 글로벌 기업 유치(9.6%), 서비스업 육성(8.3%) 순이었다.
청년들의 70.4%는 열심히 일해서 부자가 될 가능성에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청년들의 부정적인 일자리 인식은 청년 구직단념자 양산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노동시장 유연화와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개혁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