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자본시장 중심의 구조조정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구조혁신펀드 운용 규모를 최대 5조 원까지 늘린다. 유암코와 캠코 등 정책금융기관의 자금을 마중물로 삼아 다양한 민간 투자자들을 기업 구조조정 시장에 끌어들이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6일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캠코가 주관한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구조조정 혁신 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이런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을 소개했다.
금융위는 성장금융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현행 1조 원에서 단계적으로 최대 5조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보증과 신규자금, 만기연장 등 기업 여건에 따라 펀드 운용과 지원방식을 다양화하고, 산업 이해도가 높은 집행기관(GP)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유암코의 기업구조조정 기능도 강화한다. 유암코는 그동안 은행들이 내놓은 NPL을 사들여 정상화한 뒤 채권을 회수해 수익을 내왔다. 지난해 말 기준 유암코의 NPL 투자잔액은 2조6,000억원으로 기업구조조정 투자잔액(1조4,000억원)보다 2배 정도 많다. 하지만 앞으로는 부실채권(NPL)시장은 민간으로 넘기고, 기업 구조조정 기능 강화에 힘쓸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유암코에 내년까지 3,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캠코의 ‘회생절차기업 신규 자금지원(DIP금융)’도 활성화한다. 지원 규모가 작은 기업은 캠코가 연 3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직접 지원하고 중규모 이상 기업에 대해선 DIP금융 전용펀드를 조성한 후 연 2,00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회생 기업이 요청하면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이 6개월간 채권매각을 보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최 위원장은 “자본시장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전문가 역할을 수행해 그 과실이 기업, 투자자, 근로자 모두에게 돌아가는 선순환적 구조조정 시장으로 거듭나야 한다”면서 “민간의 자금이 기업구조조정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정책자금이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