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협회가 국내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마련한 서비스위크의 막이 올랐다.
한국표준협회는 2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 서울 벨뷰스위트에서 제 4회 서비스위크를 개최하며 시작 행사로 미래 혁신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상진 한국표준협회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 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한 진흥활동”이라며 “앞으로 서비스 품질 수준 향상은 새로운 기술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이어 “서비스의 본질적인 부분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며 “제조업 분야와 달리 서비스업의 혁신이 어렵고 더딜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와 발맞춰 서비스산업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과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대한민국 서비스품질 수준 향상을 위한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의료·관광·공유경제 산업의 서비스품질 수준 향상 방안을 논의했다. 심포지엄의 발제 및 진행을 맡은 이유재 서울대학교 교수는 이제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으며 제조 기업 역시 서비스를 중요한 요소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서비스 중심 사고’를 강조했다. 이 교수는 실제로 제조 기업에서 제품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앞으로 산업 전반이 사회적 성과·삶의 질·웰빙을 고려한 ‘사람을 위한 서비스’ 패러다임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의료 분과에서는 강희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사와 김용식 서울성모병원장, 김덕경 삼성서울병원 교수 등이 연사로 나섰다. 강 이사는 환자경험 평가가 다양한 의료환경에 대한 경험을 평가하여 결과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고, 김 원장은 환자중심 의료서비스를 위한 그간의 노력과 성과를 언급하면서 병원서비스 혁신을 위한 개선방안을 소개했다.
관광분과에서는 정선희 한국관광공사 팀장, 서정곤 롯데호텔 상무, 김진환 하나투어 상무 등이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해 언급했다. 공유경제 분과에서는 박재진 기획재정부 과장이 공유경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알리는 한편 조산구 한국공유경제협회 회장이 공유경제 혁신은 사회적 문제의 해법일 수 있지만 사회적 합의를 통한 현안 해결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수남 모두컴퍼니 대표는 자사의 주차정보·주차공유 사업을 소개하며 한정된 주차면을 유료로 공유하고 앱으로 관리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표준협회는 서비스위크를 통해 국가 경제의 미래를 짊어질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해 우리 기업들의 자양분이 될 수 있는 지식서비스 제공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