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원장은 29일(현지시간) 피지 난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국정부는 과잉 공급 및 부채 조정에 더하여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급격한 성장률 저하를 막기 위해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실시했다”며 “이에 성장률이 목표치(6.0~6.5%)에 달성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고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6.2%에서 6.3%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정 원장은 “중국 정부가 1분기에 특수채 발행을 전년동기대비 7배 확대하는 등 인프라 건설을 중심으로 고정투자를 늘린 까닭”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 원장은 중국 정부의 인위적 경기 부양책으론 유동성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다수의 중국기업들의 부채 문제는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원장은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경기부양책의 효율성이 낮고 경제구조조정도 지연되고 있다”며 “기업부채와 부동산시장 불안, 자금이탈 등 내재된 구조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은 변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정지출을 보면 수익성이 낮고 자금 회수기간이 긴 일대일로 등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되면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지출 확대로 금년에 국가 총부채 비율이 최대 6% 포인트 높아져 경기부양 효과에 비해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한편 정 원장은 위안화와 원화의 비동조화 현상에 대해 ‘일시적’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수출 시장 1위인 중국의 경제 회복에도 원화 가치가 상승하자 한국 경제 전망이 더 어둡다는 우려가 커진 바 있다. 정 원장은 “위안화는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 중국 증권시장 글로벌 지수(MSCI 등) 편입 확대 등으로 달러화와 동반 강세를 보였다”며 “반면 원화는 최근 외국인 배당금 역송금 집중,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신흥국 채권지수 제외 발표, 1분기 마이너스 성장 등을 선반영하여 일정부분 약세로 반응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지 난디=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