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만기 10년 이상 장기물 국고채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고채전문딜러(PD·Primary Dealer) 평가 방식을 개선하는 등 관련 제도를 손질한다. 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개선된 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최근 장기물 발행 비중이 확대되고 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 대응해 PD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장기물의 특성을 고려해 거래를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국고채 만기를 분산시키고 시장의 장기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장기물 발행을 확대해 왔다. 앞선 3월(3,250억원)과 6월(5,400억원)에 이어 지난 12일에는 50년물 6,600억원어치를 발행하는 등 장기물 비중을 늘리고 있다.
정부는 10점 만점으로 17개 PD사들의 거래 실적을 평가할 때 10년 이상 국고채 거래에 대해 부여하는 가중치를 기존 2배에서 3배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내 가격의 대표성도 부여하기 위해 현행 오후 1시30분부터 2시간 동안 이뤄지는 호가 조성 시간도 △오후 1시~3시 중 1시간30분 △오후 3시~오후 3시30분 간 30분으로 나눌 계획이다. 기재부는 “장 마감 직전 시간대에 PD사들의 응찰률을 높여 호가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거래 활성화로 시장 과열 우려가 있는 10년 선물과 스트립거래 기준은 평균 200%에서 150%로 완화하기로 했다. 평가기준도 합리화하기 위해 발행 물량(낙찰) 대신 예정물량(공고)으로 평가 모수를 변경해 시장에서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변동 가능성이 있는 발행물량이 아닌, 예측 가능한 예정물량을 기준으로 평가해 응찰률을 높이겠다는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일정 기간 후 재매입할 수 있는 조건이 붙는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시장에서도 PD 평가 시 기일물 거래에 대한 가중치를 1.5배에서 2배로 확대하기로 했다. 담보 대상 채권에는 스트립 원금채와 이자채를 추가해 시장 참여 기반을 넓힐 계획이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