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달 초 발표한 ‘KDI 경제동향’ 8월호에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은 비교적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투자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소비 개선 추세도 완만해지는 등 내수가 다소 약화한 모습”이라고 최근 경제 상황을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수요 측면의 상황을 반영해 반도체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한 생산 측면의 경기 개선 추세는 더욱 완만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뚜렷해지는 경기하강의 전조는 경제지표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우선 내수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6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4.5%)보다 다소 낮아진 4.0% 증가에 그쳤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 역시 전월(105.5)보다 큰 폭을 떨어진 101.0을 기록했다. 서비스업생산지수 역시 1.7% 증가율을 기록하며 전월(2.3%)에 비해 증가 폭이 축소됐다. 이 중 민간소비와 관련이 높은 숙박 및 음식업점은 2.5% 감소하며 전월(-1.8%)에 비해 감소 폭이 늘었고, 도소매업도 1.7% 증가에 그쳐 전월(2.2%)보다 부진했다.
내수 부진은 전반적인 경기 하강을 이끌고 있다. 6월 전산업생산은 보합을 나타냈다. 1.6% 증가했던 전월보다 부진했다. 광공업생산은 반도체 생산이 24.9% 나 증가했지만 자동차와 기계장비 등이 부진해 전월 0.4% 감소로 전환했다. 6월 제조업 출하도 전월 1.2% 증가에서 2.1% 감소로 돌아섰다. 7월 수출만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6.2% 증가하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KDI는 투자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선행지표도 감소 흐름을 이어가면서 당분간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6월 설비투자지수는 기계류가 큰 폭으로 내려 13.8% 감소했다. 건설투자 지표인 6월 건설기성(불변)도 7.7% 줄었고, 건설수주(경상)도 18.3% 감소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