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어떤 나노입자가 질병 치료에 효과적인지 판별하는 기술이 개발돼 나노의약품 등의 개발에 활용될 전망이다. 10억분의 1m 단위 수준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나노기술로 암·뇌졸중 등 중증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나 화장품, 의약품 등에 적용될지 관심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나노바이오측정센터 이태걸 박사팀과 서울대 의대 김정훈 교수팀은 16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나노입자가 세포를 투과해 치료제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나노의약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개발한 기술은 세포의 정전용량(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을 측정한 후 나노물질을 투입해 정전용량의 기울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나노입자에 형광물질로 표시한 뒤 그 위치를 현미경으로 관찰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해온 탓에 변화 추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없었다.
이들은 금 나노기판에서 혈관 내피세포와 암세포를 육성한 뒤 전류를 흘려 넣어 세포가 갖는 정전용량을 측정했다. 그후 기판 내에 나노물질을 넣어 시간대별로 정전용량이 어떻게 변하는 지를 관찰했다. 이태걸 박사는 “약물을 합성하기 전에 나노입자의 세포 내 투과 정도를 미리 확인해 나노입자를 선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