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네이버 검색을 통해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그리고 각종 블로그 이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폭넓게 노출된다.
네이버가 웹 수집 방식을 적용해 모은 정보를 사이트 검색 결과에 확장해 제공키로 한 데 따른 것이다.
네이버는 기존 검색 노출을 위해 이용자가 신청 프로세서를 거쳐야 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웹 표준에 맞게 잘 관리만 해도 검색될 수 있게 검색 노출 방법을 개선했다고 20일 밝혔다.
즉 지금까지는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네이버 검색에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양식에 맞춰 신청을 해야 했지만, 이제는 웹 표준에 맞게 잘 관리하고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면 별도 신청 없이 검색 결과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머신러닝에 기반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용자 선호도를 분석·예측하고 수집된 정보를 자동 분류해 콘텐츠를 선별하는 방식도 이번에 적용된다. 이는 일반 웹 사이트를 비롯해 카페와 블로그와 같은 다양한 이용자제작콘텐츠(UGC)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서 생성되는 모든 콘텐츠가 대상이 된다는 뜻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사이트 내 수정된 콘텐츠를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탐지해 제공하고, 이용자 선호도가 높은 정보를 수집해 노출함으로써 검색의 품질을 한층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새로 만든 웹페이지 등 운영하는 페이지가 수집되기를 원하는 이용자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webmastertool.naver.com)에서 간단히 URL만 입력하면 된다. 웹마스터 도구에서는 사이트의 수집 현황부터 검색 반영, 사이트 최적화 여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권대경기자 kwon@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